Crush on Study253 [디스플레이] OLED 시장의 현황 (Micro LED & QD-LED) 디스플레이에 관심을 가지는 모든 분들이 알다시피 LCD시장은 중국 정부의 막대한 투자에 의해 한국에서는 전부 철수한 상황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LGD와 SDC에서는 OLED로의 연구에 절대적으로 치중하고 있는데요. 현재 가장 상용화된 기술은 OLED 기술이고 이것을 기반으로 QD-LED / Micro LED가 있습니다. 여기서 굳이 따지면 QD-LED는 무기물입니다. 그러나 OLED의 다음 세대로 이미 활발히 연구가 진행중입니다. OLED QD-LED Micro LED 메커니즘 자체발광 자체발광 / 백라이트 유닛 자체발광 시감도 낮음 높음 높음 Luminance (cd/m^2) 1500 칸델라 15000 칸델라 10000 칸델라 Contrast 10000 Higher than OLED 10000 mobi.. 2020. 8. 17. [디스플레이] 분자오비탈 MO / 파이결합과 시그마결합 / 공명구조 (비편재) OLED는 유기소재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로 탄소로 이루어진 고분자 물질입니다. 유기물이라 하면 탄소도 있지만 질소와 산소도 포함되는데요. 이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공유결합을 한다는 것에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OLED를 배우기에 앞서 잠시 유기화학의 내용 중 하나인 분자오비탈의 개념을 짚어볼 필요가 있는데요. 다음 그림을 통해 파이&시그마 결합까지 한 눈에 살펴보도록 합시다. 1) MO는 유기물 간의 결합이론을 의미하며, 공유결합 중 가장 강한 특징을 가집니다. 2) *는 스타를 의미하고 Anti-Bonding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Anti-Bonding의 경우는 에너지 준위가 높아서 큰 에너지를 가진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3) 산소의 경우는 시그마2p결합이 제일 낮은 에너지 준위.. 2020. 8. 17. [공업수학] 2계 제차/비제차 선형상미분방정식 정의 & 론스키안 행렬식 (Wronskian Matrix) ▶ 2계 제차 선형상미분방정식 - 2계라는 것은 도함수가 몇번 시행됐냐를 의미합니다. 즉, 이계도함수임을 의미하는데요. 2계 선형상미분방정식은 다음과 같은 형태를 띱니다. 위의 식입니다. 1계 선형상미분방정식이랑 똑같죠? 우변에 r(x)=0이면 제차고 아니라면 비제차란 것까지! 이 2계 선형상미분방정식은 하나의 성질에 의해 해를 구하는 과정을 관통합니다. 바로 아래를 보시죠. 위와 같이 나온 일반해를 봅시다. y=y1+y2이런 꼴이죠? 물론 앞에 계수가 따로 붙어야 우리가 아는 일차결합이 됩니다. y=c1y1+c2y2 이런꼴이 일차결합인데요. 여기서 만약 c1y1+c2y2=0이라 합시다. 여기서 c1,c2가 둘다 0이라면 일차독립이구요. 만약 둘 중 하나라도 0이 아니라면 일차종속이 됩니다. ▶ 론스키안.. 2020. 8. 16. [공업수학] 비선형 미분방정식 (베르누이 방정식 ; Bernoulli Equation) 비선형 미분방정식은 앞에서 포스팅했던 선형 미분방정식의 형태 y'+p(x)y=q(x)꼴이 아닌 다른 모든 상태를 말합니다. 그 중에서 특히 오늘 할 베르누이 방정식은 비선형 미분방정식의 특수 유형입니다. 아래의 유형을 봅시다. 2020. 8. 8. [공업수학] 소금물 유입량/유출량 문제유형 푸는 방법 공업수학1에서 나오는 소금물 문제라하면 물탱크가 주어져있고, 이 물탱크 안에 몇리터의 소금물이 있다. 유입되는 물의 양은 분당 몇 L고, 균질하게 잘 섞인 뒤 유출되는 물의 양은 분당 몇 L다~ x분 뒤에 물탱크에 남아있는 소금의 양은 몇인가! 이런 식으로 정형화되어있는 문제입니다. 공식을 먼저 세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런식으로 세울 수 있습니다. 간단해요. 이제 예제를 하나 풀어보도록 합시다. 공업수학은 원래 이해보단 그냥 반복해서 푸는게 좋습니다. 보시죠 일단 소금의 유입량을 알아봅시다. 리터당 3kg의 소금이 들어온다고 하네요. 근데 분당 15L씩 물탱크안에 들어오고 있으니 총 소금의 유입량은 45kg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쉽죠? 그 다음 유출량을 봅시다. 우리는 유입된 이후로 물탱크에 있는 소금의.. 2020. 8. 8. [공업수학] 1계 선형미분방정식 & 응용 (RL회로 , RC회로) ▶ 1계 선형미분방정식 - 여기서 말하는 1계는 지수가 1승인 것을 뜻합니다. 그리고 선형미분방정식이라는 것은 차수가 순차적으로 나열되어있다는 말입니다. 한번 보도록 합시다. 이런 꼴로 나옵니다. 보세요. 1계도함수, 함수 이런꼴이죠? 더 나아가서 아래같은것도 선형입니다. 무슨 느낌인지 아시겠죠? 이 1계 선형미분방정식의 일반해를 구하는 공식은 정해져있습니다. 그냥 외우시면 되요 RL회로랑 RC회로도 위 공식을 통해서 구할 수 있습니다. 물리학에서 나오는 RL과 RC와 똑같지만 공업수학에서는 위 공식을 사용해서 전류나 전하값을 구하더라구요. ▶ RL회로 공식 위와 같은 식으로 나옵니다. 전류와 저항 그리고 인덕턴스, 기전력에 대한 식으로 이루어져있는데요. 보시면 전류에 대한 1계 선형미분방정식이라는 것을.. 2020. 8. 6.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