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LED7

[디스플레이] OLED 전하수송층의 소재 / P-Doping 과 N-Doping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소재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 Energy Level - HOMO-LUMO 갭을 가지고 판단하는 것인데 이게 구동전류&전압을 좌우하기 때문입니다. ★ Mobility - 전자의 이동도 역시 빠르게 전달하는 것도 중요사항 중 하나입니다. ★ Emtting Wavelength - 색좌표를 좌우하는 것입니다. 발광파장이 장파장이냐 단파장이냐에 따라 RGB 구현을 잘 할수 있으니까요. ★ Thermal Stability - 열 안정성입니다. 제작 공정 자체가 유기물질에 열을 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높은 온도에서 유기물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것인데 이 상황에서 안정성을 갖게 해야합니다. 즉, 유기물질의 분해 온도를 파악하고 이것이 높은 재질을 써야 유.. 2020. 8. 22.
[디스플레이] PhotoLuminescence & ElectroLuminescence / OLED 작동원리들 ▶ OLED : 유기물에 전류를 흘려보내서 빛을 내는 발광소자 1세대 OLED는 중국인 연구원 C.W Tang이 필름카메라 회사였던 Kodak에서 실용적인 첫 OLED를 개발하게 됩니다. 이 당시에는 유리위에 ITO 그리고 Diamine을 쌓고 Alq3, Mg을 진공증착법으로 쌓았습니다. Alq3에서 전자와 정공이 만나서 불을 내는 발광층 역할을 했는데요. 이 때 얻은 광자 효율성이 1%정도 되었습니다. 물론 효율성이 지금보면 엄청 낮지만요! ▶ PL (A.K.A Photoelectric Effect) - 핵을 중심으로 돌고있는 최외각전자들을 생각해봅시다. 이 원자에 만약 포톤 에너지를 가하면요. 핵 주변을 돌고있는 최외각전자가 이 에너지를 흡수하게 됩니다. 그러면 운동에너지가 커지게 되면서 밖으로 튕겨.. 2020. 8. 20.
[디스플레이] OLED 시장의 현황 (Micro LED & QD-LED) 디스플레이에 관심을 가지는 모든 분들이 알다시피 LCD시장은 중국 정부의 막대한 투자에 의해 한국에서는 전부 철수한 상황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LGD와 SDC에서는 OLED로의 연구에 절대적으로 치중하고 있는데요. 현재 가장 상용화된 기술은 OLED 기술이고 이것을 기반으로 QD-LED / Micro LED가 있습니다. 여기서 굳이 따지면 QD-LED는 무기물입니다. 그러나 OLED의 다음 세대로 이미 활발히 연구가 진행중입니다. OLED QD-LED Micro LED 메커니즘 자체발광 자체발광 / 백라이트 유닛 자체발광 시감도 낮음 높음 높음 Luminance (cd/m^2) 1500 칸델라 15000 칸델라 10000 칸델라 Contrast 10000 Higher than OLED 10000 mobi.. 2020. 8. 17.
[디스플레이] 분자오비탈 MO / 파이결합과 시그마결합 / 공명구조 (비편재) OLED는 유기소재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로 탄소로 이루어진 고분자 물질입니다. 유기물이라 하면 탄소도 있지만 질소와 산소도 포함되는데요. 이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공유결합을 한다는 것에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OLED를 배우기에 앞서 잠시 유기화학의 내용 중 하나인 분자오비탈의 개념을 짚어볼 필요가 있는데요. 다음 그림을 통해 파이&시그마 결합까지 한 눈에 살펴보도록 합시다. 1) MO는 유기물 간의 결합이론을 의미하며, 공유결합 중 가장 강한 특징을 가집니다. 2) *는 스타를 의미하고 Anti-Bonding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Anti-Bonding의 경우는 에너지 준위가 높아서 큰 에너지를 가진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3) 산소의 경우는 시그마2p결합이 제일 낮은 에너지 준위.. 2020. 8. 17.
[디스플레이] OLED 발광 효율에 대하여 (내부 발광, 외부 발광) 1. OLED의 발광 원리 - 이거는 예전에 제가 포스팅한 내용이기도 한데 그래도 다시 한번 복습한다는 의미로 간단히 적겠습니다. OLED에서 O는 유기물을 뜻하는 이니셜입니다. 즉, 백라이트 기판을 사용하는 LCD와 다르게 빛을 스스로 내는 유기물 소재로 LCD보다 더 높은 RGB컬러 구현율을 가집니다. 먼저 양극의 정공과 음극의 전자가 유기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엑시톤상태(들뜬 상태)가 됩니다. 그러면 거기서 일중항과 삼중항으로 나뉘게 되고, 이곳에 각각 1:3의 비율로 광자가 위치하게 됩니다. 그러면 이 광자가 바닥상태로 떨어질 때, 일중항에서 떨어진 애는 형광이 되고 삼중항에서 떨어진 애들은 인광이 되는 것까지 배웠었습니다. 이 광자들이 바닥상태로 떨어지면서 빛을 내게 되는 것이구요. 2. 내부 발.. 2020. 4. 30.
[디스플레이 OLED 기술] 형광과 인광에 대하여 비교해보자! ▶ 형광 1. 형광의 발생 원리 - 형광은 양극에 hole과 전자를 주입하게되면 이 둘이 만나 '엑시톤(들뜬 상태=여기자)' 이 됩니다. 근데, 이 엑시톤은 일중항과 삼중항 상태로 1:3비율로 나뉘어져 존재하게 됩니다. 그림을 봅시다. 일중항에는 한개. 삼중항에는 3개가 있게됩니다. 일중항에서 바닥 상태로 떨어지게되면 유기표면층에 마찰되면서 빛이 발생하게 됩니다. 2. 형광의 효율성 - 위 그래프를 보면 형광은 일중항 상태에서 바닥 상태로 전이가 일어났을 때 발생합니다. 즉, 25%의 효율만 가지는 것이죠. 처음 4개에서! 일중항:삼중항 비율로 1:3으로 나뉘게 되니까요. 삼중항에서 떨어지는 것은 진동에너지 형태로 소멸되게 됩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형광을 쓰는 이유는? 높은 에너지 준위에서 떨어지기.. 2020. 3.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