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체물리학3 [고체물리&재료과학] Laue Theory (라우에 이론) X-ray Scattering (XRD Diffraction)의 기초 입문 ▶라우에 이론 - 회절 현상을 통해 시료 내부의 구조를 파악하고자 함. 먼저 간단히 개괄적인 면부터 천천히 시작해보고자 합니다. 자, 시료를 향해 다가오는 굵은 화살표가 있죠? 저게 Incident beam(입사파)입니다. 입사파에 의해서 Scarttering된 수많은 반사파들은 각각의 시료 내부의 미소부피인 dV들에 의해 각각 다른 회절각도를 가져 저렇게 나오게 됩니다. 우리는 지금부터 입사파의 출발점으로부터 시료 내부의 임의의 한 개의 dV까지의 거리를 k벡터라고 하겠습니다. 그리고 dV로부터 빠져나온 반사파까지의 거리를 k'벡터라고 하겠습니다. 또한 원점에서부터 dV의 중심점까지의 거리를 r벡터라고 하겠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원점은 시료 내부에 존재할 수도 있고, 시료 밖에 존재할 수도 있습니다. .. 2020. 4. 1. [고체물리&재료과학] STM과 TEM의 작동원리 & 회절현상과 브래그 법칙 (Bragg's law) ▶STM (Scanning Tunneling Microscope) Tip과 Sample은 닿지 않아야 합니다. 닿지는 안되 많이 가까운 상태에 가야합니다. 가까운 상태가 되면 터널링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를 Qunatum mechanical Tunneling이라 합니다. 이 현상은 Tip과 Sample의 표면이 가까울 수록 커집니다. 아무튼 샘플의 표면을 보면 입자 하나하나가 구의 형태를 띠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볼록 튀어나온부분과 들어가는 부분이 항상 있겠죠? 이 부분을 통해서 Sample의 표면 구조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시료를 보면 대충 LDOS가 대충 2부근이 정상적인 표면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 근데 Energy부분이 1,0 1,5인 부분에서 갑자기 높은 피크가 관측되었습니다. .. 2020. 3. 28. [고체물리&재료과학] 큐빅에서의 BCC구조, FCC구조와 밀러 지수 (Miller Index) ▶ Cubic Cell에서의 구조 Simple BCC FCC Lattice Point 1 2 4 배위수 6 8 12 거리 a 4R/루트3 (2루트2)*R 충진율 0.52 0.68 0.74 자, 일단 표 먼저 보여드렸습니다. 하나하나 씩 보도록 합시다. 1) Simple Cubic - Lattice Point란 격자점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여기서는 원자 개수라고 생각하세요. (필기노트가 오류인건지 아니면 원래 Lattice Point라고도 하는지는 모르겠네요.) Simple Cubic을 보면 Lattice Point(원자)가 하나죠? 왜 그럴까요? 여기서 원자의 모형은 '구'라고 가정하겠습니다. 이 구를 8등분시켜서 Simple Cubic의 각각 꼭짓점에 박아두면 위 그림과 같은 모습이 됩니다. 즉, 원래.. 2020. 3. 2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