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ush on Study253 [디스플레이] RGB 재료 / Flexible OLED (폴더블 디스플레이)와 LLO기술 (Laser Lift Off) 이전 포스팅에서 제가 깜빡하고 RGB 소재가 뭔지 안적어드렸는데 여기에다 먼저 적고 시작하겠습니다. Red : 이리듐 소자를 주로 씁니다. (Deep Red를 위함) / Periflanthene (높은 광자효율을 가지는 레드컬러) Green : 여기도 이리듐을 씁니다. / Indenoperylene (Periflanthene에서 공액계 하나 뗀 것) Blue : 파이렌 계열의 물질을 씁니다 (도펀트) / 안트라센 (호스트) RGB컬러는 '공액계의 길이'에 따라 달라집니다. 공액구조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레드쪽이구요. 짧을 수록 블루입니다. 위 구조가 Red소자의 재료인데요. 양 옆으로 ㅓㅏ 같은 모양있죠? 이걸 둘다 떼내면 블루. 하나만 떼면 그린이 됩니다. 공액구조란 것은 단일결합과 이중결합이 공존하는.. 2020. 8. 23. [디스플레이] OLED 전하수송층의 소재 / P-Doping 과 N-Doping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소재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 Energy Level - HOMO-LUMO 갭을 가지고 판단하는 것인데 이게 구동전류&전압을 좌우하기 때문입니다. ★ Mobility - 전자의 이동도 역시 빠르게 전달하는 것도 중요사항 중 하나입니다. ★ Emtting Wavelength - 색좌표를 좌우하는 것입니다. 발광파장이 장파장이냐 단파장이냐에 따라 RGB 구현을 잘 할수 있으니까요. ★ Thermal Stability - 열 안정성입니다. 제작 공정 자체가 유기물질에 열을 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높은 온도에서 유기물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것인데 이 상황에서 안정성을 갖게 해야합니다. 즉, 유기물질의 분해 온도를 파악하고 이것이 높은 재질을 써야 유.. 2020. 8. 22. [디스플레이] FMM (Fine Metal Mask) FMM는 스테인리스 스틸을 가지고 RGB를 패터닝하는 방식입니다. 저런식으로 Gas 증착할때 마스크를 가지고 r,g,b를 패터닝하는 것입니다. 얘 말고도 레이저전사법이라는 패터닝이 있는데요. 레이저전사법도 굉장히 좋은 패터닝이지만 '우라'라는 흔적이 남아서인지 FMM기법을 많이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또 다른 패터닝으로는 전기수력 패터닝이 있습니다. 연구용으로 쓰이는데요. 아직까지 크게 뜬 기술은 아닙니다. 2020. 8. 22. [디스플레이] OLED 재료개발 개론 (유기화학 복습) ▶ 유기물의 결합 - 유기물이 결합을 하면 크게 시그마 결합과 파이 결합으로 나타납니다. 시그마 결합이라 함은 핵과 핵 사이를 공유하는 것이고, 파이 결합은 유기물의 오비탈 중에서 P오비탈을 통해서 한 쌍의 전자가 공유되며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시그마 결합은 핵에 의해 강하게 붙들려있기 때문에 파이 결합보다 강한 편입니다. 따라서, 시그마 결합은 안정성이 높아 낮은 에너지를 가지기 때문에 안정한 상태를 가집니다. 그러나 파이 결합은 상대적으로 강하게 붙들린게 아닙니다. 핵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있기 때문에 안정화 되어있지 않아 높은 에너지를 가집니다. 파이결합을 갖기 위해서는 이중결합 그 이상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OLED 유기물 소재는 전하 이동이 기본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단일결합을 할 수는 .. 2020. 8. 22. [디스플레이] PhotoLuminescence & ElectroLuminescence / OLED 작동원리들 ▶ OLED : 유기물에 전류를 흘려보내서 빛을 내는 발광소자 1세대 OLED는 중국인 연구원 C.W Tang이 필름카메라 회사였던 Kodak에서 실용적인 첫 OLED를 개발하게 됩니다. 이 당시에는 유리위에 ITO 그리고 Diamine을 쌓고 Alq3, Mg을 진공증착법으로 쌓았습니다. Alq3에서 전자와 정공이 만나서 불을 내는 발광층 역할을 했는데요. 이 때 얻은 광자 효율성이 1%정도 되었습니다. 물론 효율성이 지금보면 엄청 낮지만요! ▶ PL (A.K.A Photoelectric Effect) - 핵을 중심으로 돌고있는 최외각전자들을 생각해봅시다. 이 원자에 만약 포톤 에너지를 가하면요. 핵 주변을 돌고있는 최외각전자가 이 에너지를 흡수하게 됩니다. 그러면 운동에너지가 커지게 되면서 밖으로 튕겨.. 2020. 8. 20. [디스플레이] OLED 패터닝 공정 (Direct Patterning) / WOLED OLED의 패터닝 공정을 알아봅시다. OLED 패터닝을 하는 과정 중에서 중요하다고 보는 것은 '리소그래피(노광)' 쪽입니다. 이 리소그래피라는 것은 pr도포된 애 위로 레이저를 쏴서 물성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하는데요.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변화되는 물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CD (Critical Dimension)인데요. 얘는 파장과 Numerical Aperture에 연관이 있습니다. 제가 CD가 무엇인지는 자세히 모르겠는데 조리개랑 파장 그리고 렌즈가 나온거보면 아마도 분해능일 것 같습니다. 이 내용 잠깐 공부했을때도 CD를 줄이는 방향으로 간댔으니까 아마 분해능이 맞을겁니다. 그렇기 위해서는 NA(Numerical Aperture)를 키워야겠죠? NA는 렌즈의 구경을 넓히면 커집니다. 한편, OLE.. 2020. 8. 20.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