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ush on Study253 [현대물리학] 특수 상대성 이론 (시간 팽창 / 길이 수축 / 마이컬슨&몰리의 실험) 특수 상대성 이론은 등속운동에 관한 것입니다. 즉, 일반 상대성 이론이 전체 집합이라면 특수 상대성 이론은 부분 집합입니다. 옛날에 학자들은 빛은 파동성만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매질이 존재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그래서 이 매질을 '에테르' 라고 불렀으며 에테르를 찾기 위한 실험들을 시작했습니다. 대표적인게 마이컬슨-몰리의 실험입니다. 이분들은 에테르를 찾기 위한 실험을 실시했는데요. 저 중간에 있는 거울은 반투과성입니다. 그래서 광원(light source)으로부터 일부는 반사시키고 일부는 투과시켜서 위와 같은 그림을 얻었습니다. 여기서 마이컬슨과 몰리는 이러한 생각을 합니다. "빛이 전달되는데 매질이 필요하다면 이 실험을 통해 빛의 속도에 간섭을 주는 것이 발견될 것이다." 하지만 위 실험에.. 2019. 11. 28. [전자기학] 휘트스톤 브릿지와 무한 회로망 & 정육면체 회로망 & 키르히호프 법칙 복스 위 법칙은 일단 키르히호프 법칙에서 더 나아간 심화 회로이론입니다. 키르히호프 법칙은 이 블로그에 설명을 해놨지만 복습차원에서 다시 한번 간략히 알려드리고 시작하겠습니다. 1. 키르히호프 법칙 - 키르히호프 법칙은 2개의 개념을 바탕으로 합니다. 키르히호프 법칙 제 1법칙 제 2법칙 이름 분기점 법칙 폐회로 법칙 대상 전류 전압 (전위차) 회로의 특징 접합하는 부분 (나뭇가지 생각) 닫힌 회로 물리적 특징 전하량 보존의 법칙 에너지 보존의 법칙 공식 I1-I2-I3=0 (분기가 2개인 경우) 전류의 방향이 곧 고리를 돌리는 방향 2. 키르히호프 법칙 예시문제 위 문제를 보면 전류의 방향이 동일하지가 않은데 상관은 없습니다. 다만, 저는 편의성을 위해 기준이 될 전지를 딱 하나 잡고 시작합니다. 위 사진에.. 2019. 11. 28. [소리역학] 음파의 세기 / 관악기의 파장 / 맥놀이 진동수(Beats) / 도플러 효과 (Doppler Effect) 잘 나오지 않는 파트라 비주류 역학이라 했습니다. 그래도 한문제 정도는 꽤 자주 출제되는 것 같아서 정리합니다. 음파(Sound)에는 크게 3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높이, 세기, 맵시입니다. 1) 높이는 음파에 어떠한 연관이 있는가? - 높이는 곧 진동수와 연관이 있음을 보입니다. 진동수가 클수록 음파의 높이는 높습니다. 즉, 고음이 됩니다. 가청 진동수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소리를 진동수 범위로 표현한 것을 말합니다. 20Hz~20000Hz가 가청진동수 범위고 만약 이 범위를 넘어선만큼 높은 진동수의 음원이 흘러나오면 인간은 이를 듣지 못합니다. 이를 '초음파' 라고 합니다. 2) 세기는 음파에 어떠한 연관이 있는가? - 세기는 진폭과 연관이 있습니다. 진폭이 클수록 큰 소리를 냅.. 2019. 11. 27. [전자기학] 파동방정식과 맥스웰 방정식 (Maxwell Equation) / 말루스 법칙 / 브루스터 편광각 개념묻는 문제로 출제될 확률이 꽤 높은 단원입니다. 먼저 파동함수부터 살펴봅시다. 여러분도 잘 알다시피 빛은 전자기파라고 불리우는 이유는 입자성과 파동성 성질을 둘다 띠고 있으며, 자기장과 전기장에 수직한 방향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를 파동함수로 표현해보도록 합시다. 자, 이게 파동방정식을 유도한 것인데요. 여기서 얻은 파동방정식에다가 맥스웰이 빛이 전자기파일 것이라는 예언을 하게됩니다. 바로 그 유명한 빛의 속도 공식입니다. 빛의 속도는 자유공간에서의 투자율과 유전율을 곱한 값에다가 제곱근을 취해줍니다. 그리고 그것을 역수 값을 구하면 3억m/s라는 값이 나옵니다. 익숙한 숫자죠? 빛의 속도입니다. 전자기파의 그래프를 한번 봅시다. 보시면 앙페르의 오른 나사 법칙에 의해 전.. 2019. 11. 26. [유체역학] 일반물리 유체역학 요점정리 (파스칼 원리 / 부력(아르키메데스) / 연속 방정식 / 베르누이 방정식) 1. 밀도의 정의 - 밀도는 질량/부피를 의미합니다. 유체역학에서는 강체역학과 달리 액체와 기체에 관한 역학이기 때문에 질량 대신 밀도를 사용합니다. 밀도는 유체의 어느 지점에서나 균일합니다. 2. 비중의 정의 - 상대 밀도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체가 가지는 밀도와 그에 대비하여 4도에서의 물의 밀도 (1000kg/m^3)과의 상대적인 비를 의미합니다. 3. 압력의 정의 - 압력은 단위 면적 당 받는 힘을 의미합니다. 만약 단위면적과 힘이 2배가 증가한다고 하면 압력은 증가 전과 증가 후가 같습니다. 따라서 무조건 힘이 커졌다고 해서 압력도 커지는 것은 아닙니다. 항상 단면적과 함께 생각하시면 좋습니다. 4. 계기압력과 절대압력이 무엇인가? - 우리는 유체에 의한 압력 공식을 p=p0+ρgh로 배.. 2019. 11. 26. [입실론델타] 헤비사이드 함수를 입실론 델타로 증명하기 하나 더 추가로 풀어보겠습니다. 이거는 0X년대 연세대 기출로 나왔던 문젠데 위 스타일과 비슷한 유형의 문제라 이것도 풀어드리겠습니다. 2019. 11. 24.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