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3

[자료구조] # 2. Set vs Map 꽤 자주 등장하는 자료구조 질문이다.Set이 뭐고 Map이 무엇인가? 일단 파이썬에서의 Map과 Java 또는 JS에서의 Map은 다르다.파이썬에서의 Map은 보통 아래처럼 사용하는데arr = list(map(int,input().split()))입력을 받을 때, 모두 int형태로 통일받겠다는 뜻이다. 단순히 각 요소에 타입이나 함수를 적용하는 식! JS에서는// 생성let map = new Map();// 세팅map.set('key1', 'value1');map.set('key2', 'value2');map.set(3, 'value3'); // 숫자 키map.set({a: 1}, 'value4'); // 객체 키// 접근console.log(map.get('key1')); // 'value1'conso.. 2024. 7. 17.
[DB] # 0. DB 트랜잭션 DB 쪽에서 꽤 자주 등장하는 질문으로는 트랜잭션의 4가지 특징일 것이다.그전에 트랜잭션이 무엇이냐? 트랜잭션은 SQL(질의)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변화가 일어나는 작업, 또는 그런 작업의 연속적인 단위를 말한다.너무 교과서적인 말을 한거 같은데, 이 블로그를 예시로 들어보겠다. 나는 지금 이 글을 쓰기 위해, 1) Database 카테고리를 선택2) 글 작성 중3) 포스팅 이렇게 3단계의 작업을 걸쳤는데, 이 3단계를 통해 "글이 하나 등록" 되었으면 이게 트랜잭션 하나가 수행된 것이라고 보면 된다. 꼭, 저 3단계 작업을 진행했으니 트랜잭션이 3번 일어났구나! 라고 말하진 않는다. 가끔 트랜잭션의 정의에 "최소" 라는 말이 들어가있어서 그런가 잘게잘게 쪼개서 생각하곤 하는데 아니다. 다시 말하자면 트.. 2024. 7. 15.
[자료구조] # 1. 배열(Array)과 리스트(List)의 차이 은근 많이 나오는 질문인데, 그냥 무지성 파이썬 입문하다보면 이 두 개념의 차이에 대해 잘 모를 수도 있다. 일단... 질문은 저렇게 러프하게 나오지만 정확히는 정적배열과 연결리스트의 차이를 염두한 질문 같다.배열도 넓은 범위에서는 "선형 리스트" 에 속하기 때문이다. 아마 Java를 쓰시는 분들이라면 ArrayList vs LinkedList에 대한 질문임을 캐치하셨을 것이다. 일단 정적배열이라 함은.. 배열을 선언할 때, 그 크기를 미리 정해두는 것을 시작으로 한다.int arr[5] = {0,}; 그럼 이런 배열의 특징이 무엇일까.연속된 메모리 주소에 값이 할당된다.인덱스로 접근하는 탐색 방법이라 조회 속도는 빠른데, 삽입/삭제가 느리다. 삽입/삭제가 느린 이유는 맨 끝이 아닌 다른 부분의 경우다... 2024. 7. 14.
[자료구조] # 0. 언제 스택을 쓰고, 큐를 써야할까? 자료구조의 가장 기초가 되는 두 유형이다.Stack : Last In First Out 형태의 데이터 처리 방식으로 입구와 출구가 같다고 보면 된다.Queue : First In First Out 형태의 데이터 처리 방식으로 입구와 출구가 다르며, 원형 통자의 "채널" 이라고 보면 된다.정의는 누구나 알지만, 정작 그래서 언제 스택을? 언제 큐를? 물어보면 막상 대답하려니 어려울 수도 있다. 스택의 대표적인 예시는 아마 "뒤로가기" 이지 않을까?여러분들이 이 글을 보기 위해서는 일단 브라우저를 키고, 스택 또는 그 외 유관한 키워드를 검색하고, 이 게시글을 눌러서 왔을 것이다. 그럼 뒤로가기를 하면? 검색 결과 화면이 뜰것이고, 다시 또 뒤로가기를 하면 검색창이 있는 메인 브라우저 화면으로 간다. 또 뭐.. 2024. 7. 3.
2024 상반기 HDC랩스 서류 / A.I면접 / 1차 면접 합격후기 (SW QA) 올해 상반기는 상당히 개인사로 바빴기에 중고신입 이직을 할 생각이 없었다가, 전형이 빠른 3군데 정도만 지원했었다.그 중에 하나가 HDC랩스였으며, 현재 2차 면접 진행 기간에 있다. 2차까지의 텀이 상당히 많이 남아 (2주 뒤에 봄..) 그냥 후기를 먼저 남겨보고자 한다. 이 글은 5월 31일에 썼고, 2차 전형이 끝난 이후에 공개로 돌릴 것이다. ## 1. 서류 전형 (4월1일 ~ 5월1일)서류가 굉장히 길었다. 또 문항은 굉장히 특이했다. 5개정도되는데 마지막 하나 빼고 나머지 4개는 200~400자뿐이었다.같이 지원했던 친구가 어디서 많이 본 문항같다 했는데 나중에 찾아보니 현대건설이랑 문항이 똑같다더라.기억나는게 자신을 표현하는 해시태그랑 이유를 함께 적는거였는데 200자 뿐이라 그냥 금방 써서.. 2024. 5. 31.
[디스플레이] 해상도에 관하여 OpenCV 공부 전, 오랜만에 디스플레이 관련 지식을 리뷰하고자 글을 쓴다. 우리가 모니터, 핸드폰과 같은 시각정보를 전달하는 기기인 디스플레이를 볼 때  자주 접하는 용어 중 하나는 해상도일 것이다. 컴퓨터 디스플레이 설정을 하다보면 해상도를 1920*1080 으로 맞추길 권장한다~ 이런 걸 볼 수 있는데이는 가로 픽셀 수, 세로 픽셀 수를 의미한다. 픽셀은 곧 화소를 의미하는데, 선명한 화질을 그려내기 위해서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기기 내에 픽셀의 수가 많을수록 표현할 수 있는 색의 범위가 늘어난다. 그렇기 때문에 동일한 규격의 디스플레이에서 해상도를 높일수록 화질이 달라진다.해상도가 높지 않다면 우측처럼 "사각형 픽셀"이 눈에 보이게 된다. 마인크래프트처럼 되버리는거다.그러면 저런 사각형 픽셀 하나.. 2024. 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