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탈피2 [열역학] 등적비열과 등압비열 & 뒬롱 프티의 법칙(Dulong, Petit's law) & 잠열 (Latent heat) / 엔탈피 (Enthalpy) ▶ 등적비열 - 등적 비열은 부피가 일정한 상태에서의 비열을 의미합니다. 이를 열역학 제 1법칙에 적용해볼까요? ΔU=Q+W에서 W는 -PΔV와 같음을 알고 있습니다. 근데 부피가 일정하다? 이는 부피 변화량이 0임을 의미하므로, W=0인 상태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ΔU=Q상태임을 알 수 있습니다. 한편, 열에너지 Q를 온도의 변화량 ΔT로 나눈 값은 열용량 C로 표현할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 공식처럼 표현이 가능합니다. 저것을 등적비열 (=등적몰비열)이라고 합니다. 헷갈리지 마셔야할 것이 있습니다. Q/ΔT는 비열이 아니라 열용량에 대한 공식인데 왜 이름에 비열이 포함되는가? 등적비열을 등적몰비열이라고도 부르는데요. 비열은 아시다시피 1몰에 대한 질량이 아니라 1g에 대한 질량입니다. 열용량은.. 2020. 4. 7. [열화학] 표준생성 엔탈피와 헤스의 법칙 (Hess's law) 전에 포스팅한 열역학 제 1법칙에서 이어서 가겠습니다. 이번에는 열역학 제 1법칙에서 Q에 대한 이야기를 할 것입니다. Q는 열에너지를 의미합니다. 이 때 특별한 조건이 하나 붙는다면 엔탈피를 의미하게 됩니다. 엔탈피란? '일정 압력 조건 하에서의 열에너지의 변화량' 이게 엔탈피입니다. 엔탈피를 알게되면 이제 이것의 부호에 따라 흡열반응인지 발열반응인지에 대해 판단하게 됩니다. 여백의 미 엔탈피의 부호 흡열 반응 + 발열 반응 - 당연합니다. 흡열 반응이란 것은 계가 주위로부터 열을 얻었다는 반응을 뜻합니다. 그리고 발열 반응이란 것은 계가 주위로 열을 내보낸 반응을 뜻합니다. 그렇다면 이제 열역학 제 1법칙을 이렇게 표현하도록 합시다. 위 식은 계가 일을 받았을 때의 공식입니다. 여기서 상태함수와 경로.. 2019. 10. 3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