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형광3

[디스플레이] OLED 전하수송층의 소재 / P-Doping 과 N-Doping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소재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 Energy Level - HOMO-LUMO 갭을 가지고 판단하는 것인데 이게 구동전류&전압을 좌우하기 때문입니다. ★ Mobility - 전자의 이동도 역시 빠르게 전달하는 것도 중요사항 중 하나입니다. ★ Emtting Wavelength - 색좌표를 좌우하는 것입니다. 발광파장이 장파장이냐 단파장이냐에 따라 RGB 구현을 잘 할수 있으니까요. ★ Thermal Stability - 열 안정성입니다. 제작 공정 자체가 유기물질에 열을 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높은 온도에서 유기물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것인데 이 상황에서 안정성을 갖게 해야합니다. 즉, 유기물질의 분해 온도를 파악하고 이것이 높은 재질을 써야 유.. 2020. 8. 22.
[디스플레이] OLED 재료개발 개론 (유기화학 복습) ▶ 유기물의 결합 - 유기물이 결합을 하면 크게 시그마 결합과 파이 결합으로 나타납니다. 시그마 결합이라 함은 핵과 핵 사이를 공유하는 것이고, 파이 결합은 유기물의 오비탈 중에서 P오비탈을 통해서 한 쌍의 전자가 공유되며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시그마 결합은 핵에 의해 강하게 붙들려있기 때문에 파이 결합보다 강한 편입니다. 따라서, 시그마 결합은 안정성이 높아 낮은 에너지를 가지기 때문에 안정한 상태를 가집니다. 그러나 파이 결합은 상대적으로 강하게 붙들린게 아닙니다. 핵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있기 때문에 안정화 되어있지 않아 높은 에너지를 가집니다. 파이결합을 갖기 위해서는 이중결합 그 이상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OLED 유기물 소재는 전하 이동이 기본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단일결합을 할 수는 .. 2020. 8. 22.
[디스플레이 OLED 기술] 형광과 인광에 대하여 비교해보자! ▶ 형광 1. 형광의 발생 원리 - 형광은 양극에 hole과 전자를 주입하게되면 이 둘이 만나 '엑시톤(들뜬 상태=여기자)' 이 됩니다. 근데, 이 엑시톤은 일중항과 삼중항 상태로 1:3비율로 나뉘어져 존재하게 됩니다. 그림을 봅시다. 일중항에는 한개. 삼중항에는 3개가 있게됩니다. 일중항에서 바닥 상태로 떨어지게되면 유기표면층에 마찰되면서 빛이 발생하게 됩니다. 2. 형광의 효율성 - 위 그래프를 보면 형광은 일중항 상태에서 바닥 상태로 전이가 일어났을 때 발생합니다. 즉, 25%의 효율만 가지는 것이죠. 처음 4개에서! 일중항:삼중항 비율로 1:3으로 나뉘게 되니까요. 삼중항에서 떨어지는 것은 진동에너지 형태로 소멸되게 됩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형광을 쓰는 이유는? 높은 에너지 준위에서 떨어지기.. 2020. 3.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