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방정식2 [광학] 렌즈방정식 (거울상과의 비교) 오랜만에 광학 포스팅가겠습니다. 렌즈는 거울과 함께 나오는 애입니다. 제가 봤을 때, 사실 거울과 렌즈 파트는 연대에서 잘 출제안하는 비주류 유형으로 알고 있지만 그냥 지나칠 순 없죠 ㅎ 내용이 워낙 쉬워서 금방 익힙니다. 안하고 셤치러갔는데 딱 뜨면 남들 다 맞을 때 혼자 틀리니까 ㅠ 먼저 거울과 비교를 해봅시다. - 볼록렌즈&오목거울 / 오목렌즈&볼록거울 지금 제가 2 그룹으로 묶어서 나눴습니다. 제가 어디서 들은 말인데 볼록렌즈랑 오목거울이랑 비슷하다고 하던데 사실 전 뭐가 비슷해서 저렇게 묶어놓은건지 잘은 모르겠습니다. 그래도 일단 저리 묶고 설명해보겠습니다. 오목거울의 특징을 간략히 살펴봅시다. * 물체가 초점보다 뒤에 있을 경우에는 도립실상이 된다. * 물체가 초점에 위치할 때는 상이 맺히지 .. 2019. 11. 23. [광학] 구면거울에 의한 상 (볼록거울과 오목거울) & 거울방정식 구면거울에서는 작도가 중요합니다. 블로그 포스팅 특성상 작도하는 과정을 담아내진 못해서 아쉽지만 최대한 이해시키도록 하겠습니다. 1) 오목거울 a) 물체가 초점거리보다 뒤에 있을 경우 - 위 그림은 현재 물체가 초점거리보다 뒤에 있을 경우를 나타낸 그림입니다. 보시면 작도에 의해 h' (거울에 의해 맺힌 상의 높이)가 거꾸로 맺힌게 보이네요. 이를 도립상이라고 하구요. 실제 빛에 의해 맺혀진 것이므로 실상입니다. 따라서 도립실상이 되고, 크기는 실제 상의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배율은 1보다 작습니다. b) 물체가 초점거리보다 앞에 있을 경우 - 이 때는 상이 정립상이 됩니다. 대신, 실제 빛에 의해 맺힌것이 아니라서 허상이죠. 그렇기 때문에 정립허상이 되구요. 배율은 1보다 큽니다. 자, 그럼 이거 정리.. 2019. 11. 4. 이전 1 다음